내가 나를 위해/이것 저것

제주고씨 관하여...

용흥 2015. 7. 20. 19:23
[ 시 조]
고을나(高乙那)
 
[시조 유래]
고씨[高氏]는 탐라개국설화에 한라산 북쪽 기슭 모흥혈[毛興穴]에서 용출했다고 전해지는 고을나[高乙那]를 시조로 삼고 본관은 제주로 단일화 하고 있다.
탐라개국설화의 삼성혈[三姓穴]을 소개하면 제주시 남문밖에 있는 3개의 구멍을 삼성혈이라 하는데 또는 모흥혈[毛興穴]이라고도 한다. 이 삼성혈에서 고을나[高乙那], 양을나[良乙那], 부을나[夫乙那]의 세 신인[神人]이 출현하였고 그후 동쪽바다에 떠내려온 상자에서 세미녀와 함께 오곡종자와 가축이 나와  이들과 함께 제주에 정착하였다고 한다.
조선씨족통보 등에는 본관을 122본까지 기록하고 있으나 모두가 제주고씨에서 분적된 계통임이 분명하다.  고씨는 시조로부터 45세손 자견왕[自堅王]까지 탐라군주로 세습해 오다가 46세손  말로[末老]가 고려에 입조[入朝]하여 처음으로 본토 진출이 시작되었으며 그의 아들 유[維], 강[綱], 소[紹]가 모두 벼슬길에 올라 가문의 번성을 이루었고 고려와 조선조에 걸쳐 수많은 인재를 배출하여 명문의 전통을 이어왔다.

[창성 유래]
고씨(高氏)는 고을나(高乙那)를 시조(始祖)로 하여 45세손(世孫) 자견왕(自堅王)까지 탐라군주(耽羅郡主)로 세습(世襲)해 오다가 서기 938년(고려 태조 21) 자견왕(自堅王)의 태자(太子) 말로(末老)가 고려(高麗)에 내조(來朝)하여 그가 곧 우리나라 고씨(高氏)의 중시조(中始祖)가 되었으며, 그의 아들 유(維), 강(綱), 소(紹) 형제가 모두 고려(高麗)에서 과거에 급제하고 벼슬을 지냄으로써 본토(本土 : 육지)의 진출이 시작되었다. 그로 인하여 후손들은 말로(末老)를 중시조(中始祖)로 하고 시조(始祖)의 발원지(發源地)인 제주(濟州)를 본관(本貫)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오면서 가문(家門)을 크게 번창시켰다. 고씨(高氏)의 본관(本貫)은 문헌에 제주(濟州)를 비롯하여 장흥(長興), 개성(開城), 횡성(橫城), 연안(延安), 용담(龍潭), 담양(潭陽), 의령(宜寧), 고봉(高峰), 옥구(沃溝), 상당(上黨), 김화(金花), 면산(免山), 회령(會寧), 안동(安東) 등 122본(本)이 있는 것으로 전(傳)하고 있으나 모두가 동원(同源)이므로 오늘날에는 제주(濟州)를 단본(單本)으로 하여 여러 파로 분파되어 있다.
중시조(中始祖) 말로(末老)의15세손(世孫) 인단(仁旦)을 파조(派祖)로 하는 성주공파(星州公派),13세손(世孫) 신걸(臣傑)을 파조(派祖)로 하는 전서공파(典書公派),15세손(世孫) 득종(得宗)을 파조(派祖)로 하는 영곡공파(靈谷公派),11세손(世孫) 경(慶)을 파조(派祖)로 하는 문충공파(文忠公派),10세손(世孫) 중연을 파조(派祖)로 하는 장흥백파(長興伯派),11세손(世孫) 인비(仁庇)를 파조(派祖)로 하는 화전군파(花田君派),13세손(世孫) 택(澤)을 파조(派祖)로 하는 문정공파(文禎公派),4세손(世孫) 공익(恭益)을 파조(派祖)로 하는상당군파(上黨君派),4세손(世孫) 영신(令臣)을 파조(派祖)로 하는 양경공파(良敬公派) 등 9파(派)로 갈리었다.
 
[가문 소개]
시조로부터 45세(世)까지 탐라군주(耽羅君主)를 세습해 오다가, 46세에 말로(末老)가 고려에 입조(入朝)하여 그가 모든 고씨의 중시조(中始祖)가 되었다.
고씨의 세계(世系)는 중시조 말로의 아들인 유(維) ·강(綱) ·소(紹) 3형제가 모두 고려시대에 등과(登科)함으로써 사환(仕宦)의 길이 트여, 이 무렵을 전후하여 탐라의 고씨가 잇달아 육지로 진출하게 된다.
특히, 말로의 장자 유(維)는 고려 문종 때 우복야(右僕射:정2품)에까지 이름으로써 고려에 벼슬한 최초의 탐라인이 되었으며, 이로부터 9상서(尙書) ·12한림(翰林)을 고려 때 배출하였고, 조선시대에도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다.
고씨는 중시조 말로의 증손인 영신(令臣) 때부터 9여 파로 나뉘는데, 그 중 제주고씨 영곡공파(靈谷公派:得宗), 장흥고씨 장흥백파(長興伯派:仲 ), 옥구고씨 문충공파(文忠公派:慶), 개성고씨 양경공파(良敬公派:令臣), 청주고씨 상당군파(上黨君派:恭益), 제주고씨 성주공파(星主公派:仁旦), 제주고씨 전서공파(典書公派:臣傑), 횡성고씨 화전군파(花田君派:仁庇) 등의 후손이 많고, 특히 그 중에서도 영곡공파가 가장 많아 오늘날 모든 고씨의 5분의 1이 영곡공파에 속한다.
조선시대 모두 227명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35명, 무과81명, 사마시56명, 역과38명, 의과6명, 음양과2명, 율과9명)

 
[계 파]
말로[末老]의 증손인 영신[令臣]代에서부터 영곡공파를 비롯하여 9여파로 갈리었고 본관은 제주고씨를 대종으로하여 장흥, 연안, 등 122여본이 분적된 것으로 기록되어있다. 9여파 중에 성주공파[星州公派:말로의 15세손 인단], 전서공파[典書公派:13세손 신걸],영곡공파[靈谷公派:15세손 득종], 문충공파[文忠公派:11세손 경], 장흥백파[長興伯派:10세손중연], 상당군파[上黨君派:4세손 공익], 등이 후손이 많고 그중에서도 영곡공파의 후손이 가장많아 모든 제주고씨의 약 5분의1을 차지한다.

[인 구]
제주 고씨 75,910가구에  318,015명(1985년)
               100,954 가구에 325,950 명(2000년)
 
■ 국조방목(國朝榜目)이란?조선 태조 초기부터 1877년(고종 14)까지의 문과(文科) 급제자를 기록한 책. 필사본. 10권 10책. 20.2×20 cm. 규장각도서. 책머리에 958년(고려 광종 9) 한림학사 쌍기(雙冀)의 헌의 (獻議)에 따라 시부(詩賦) 송(頌) 및 시무책(時務策)으로 진사(進士)를 시험 임명한 일과 고려 역대의 과거에 급제한 인명을 덧붙이고 있다.

                                             [국조방목에 기록된 조선시대 과거에 입격한 자랑스러운 선조분들]
이름 시험 등위
고경명(高敬命) 이순(而順) 제봉(霽峯)  명종13(무오, 1558) 식년시(式年試)  甲科1
고경조(高敬祖) 이원(貽遠)    명종16(신유, 1561) 식년시(式年試)  乙科2
고맹영(高孟英) 영지(英之) 하헌(霞軒)  중종35(경자, 1540) 별시(別試)  丙科13
고부천(高傅川) 군섭(君涉)    광해군7(을묘, 1615) 알성시(謁聖試)  丙科5
고성후(高成厚) 여관(汝寬)    선조16(계미, 1583) 별시(別試)  丙科8
     고습(高習) 성중(誠仲)    중종19(갑진, 1524) 별시(別試)  丙科2
고시기(高時冀)      고종16(기묘, 1879) 식년시(式年試)  乙科6
고용후(高用厚) 선행(善行) 청사(晴沙)  선조39(병오, 1606) 증광시(增廣試)  乙科3
     고운(高雲)  종용(從龍)   하천(霞川)   중종14(기묘, 1519) 별시(別試)   丙科14 
고응관(高應觀)        정조7(계묘, 1783) 식년시(式年試)   丙科3 
고익경(高益擎)  주백(柱伯)      영조23(정묘, 1747) 식년시(式年試)   乙科7 
고인후(高因厚)  선건(善健)   학봉(鶴峯)   선조22(기축, 1589) 증광시(增廣試)   丙科6 
고정주(高鼎柱)        고종28(신묘, 1891) 증광시(增廣試)   丙科18 
고제일(高濟鎰)        고종1(갑자, 1864) 증광시(增廣試)   丙科9 
고종후(高從厚)  도중(道仲)   준봉(準峯)   선조10(정축, 1577) 별시(別試)   丙科1 
고필상(高必相)        고종13(병자, 1876) 식년시(式年試)   甲科3 
고위규(高緯奎)  문백(文伯)      숙종6(경신, 1680) 별시(別試)   丙科11 
고득용(高得溶)        고종17(경진, 1880) 춘당대시(春塘臺試)    丙科4 
고몽필(高夢弼)  천뢰(天賚)      중종32(정유, 1537) 식년시(式年試)   乙科7 
고상안(高尙顔)  사물(思勿)      선조9(병자, 1576) 식년시(式年試)   丙科4 
고선경(高善慶)        세조3(정축, 1457) 친시(親試)   丙科4 
고언겸(高彦謙)        성종10(기해, 1479) 별시(別試)   丙科4 
     고유(高裕)  순지(順之)      영조19(계해, 1743) 정시(庭試)   丙科16 
고익형(高益亨)  회지(會之)      숙종4(무오, 1678) 증광시(增廣試)   丙科8 
고인계(高仁繼)  선승(善承)      선조39(병오, 1606) 식년시(式年試)   乙科7 
고종필(高宗弼)  상경(商卿)      중종29(갑오, 1534) 식년시(式年試)   丙科11 
고흥운(高興雲)  천상(天祥)      선조3(경오, 1570) 식년시(式年試)   乙科6 
고응척(高應陟)  숙명(叔明)   취병(翠屛)   명종16(신유, 1561) 식년시(式年試)   丙科5 
고한운(高翰雲)  자룡(子龍)      선조18(을유, 1585) 식년시(式年試)   甲科1 
고득종(高得宗)        세종9(정미, 1427) 중시(重試)   乙科2 
고신교(高愼驕)        세종26(갑자, 1444) 식년시(式年試)   丁科18 
고대혁(高大赫)  광안(光顔)      명종4(기유, 1549) 식년시(式年試)   丙科24 
고만구(高萬九)        순조22(임오, 1822) 식년시(式年試)   丙科4 
고성진(高性鎭)        헌종10(갑진, 1844) 증광시(增廣試)   丙科29 
고시경(高時景)        고종10(계유, 1873) 식년시(式年試)   丙科25 
고시면(高時勉)        철종6(을묘, 1855) 식년시(式年試)   丙科19 
고시신(高時臣)        순조10(경오, 1810) 식년시(式年試)   丙科1 
고시협(高時協)        고종2(을축, 1865) 식년시(式年試)   乙科2 
고시홍(高時鴻)        헌종15(기유, 1849) 식년시(式年試)   甲科3 
고의상(高儀相)        고종22(을유, 1885) 증광시(增廣試)   乙科7 
고정봉(高廷鳳)        정조24(경신, 1800) 별시(別試)   丙科17 
고정헌(高廷憲)        정조7(계묘, 1783) 증광시(增廣試)   丙科24 
고택겸(高宅謙)        정조4(경자, 1780) 식년시(式年試)   丙科16 
고경준(高景峻)        철종14(계해, 1863) 별시(別試)   乙科1 
고경진(高景軫)  응임(應任)      명종8(계축, 1553) 별시(別試)   乙科6 
고경허(高景虛)  응실(應實)      명종1(병오, 1546) 증광시(增廣試)   丙科3 
고극충(高克忠)        정조1(정유, 1777) 식년시(式年試)   丙科21 
고기승(高基升)        고종17(경진, 1880) 증광시(增廣試)   丙科28 
고기종(高起宗)        숙종2(병진, 1676) 정시(庭試)   丙科6 
고덕수(高德秀)        세종14(임자, 1432) 식년시(式年試)   同進士4 
고덕칭(高德稱)        세종29(정묘, 1447) 식년시(式年試)   丁科15 
고득종(高得宗)  자전(子傳)      태종14(갑오, 1414) 친시(親試)   乙科3 
고만갑(高萬甲)  성백(星伯)      숙종43(정유, 1717) 식년시(式年試)   丙科22 
고만첨(高萬瞻)        숙종34(무자, 1708) 식년시(式年試)   丙科26 
고명열(高命說)        영조9(계축, 1733) 식년시(式年試)   丙科20 
고명학(高鳴鶴)        정조19(을묘, 1795) 식년시(式年試)   丙科33 
고몽성(高夢聖)  계주(季周)      영조32(병자, 1756) 정시(庭試)   丙科4 
고몽현(高夢賢)        태종2(임오, 1402) 식년시(式年試)   同進士17 
고봉한(高鳳翰)        고종17(경진, 1880) 증광시(增廣試)   丙科22 
고세창(高世昌)  백겸(伯謙)      성종25(갑인, 1494) 별시(別試)   乙科4 
고승갑(高昇甲)        정조7(계묘, 1783) 식년시(式年試)   丙科21 
고승안(高承顔)        세종8(병오, 1426) 식년시(式年試)   丙科1 
고승헌(高丞憲)        경종3(계묘, 1723) 식년시(式年試)   丙科20 
고경오(高敬吾)  여일(汝一)      선조38(을사, 1605) 증광시(增廣試)   丙科11 
고형산(高荊山)  정숙(靜叔)      성종14(계묘, 1483) 춘당대시(春塘臺試)   丙科21 

'내가 나를 위해 > 이것 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인  (0) 2012.05.07
늙은 시인Ⅱ  (0) 2012.04.23
동행  (0) 2012.04.20
나 하나만으로도 족하다  (0) 2012.04.14
사랑을 배운다  (0) 2012.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