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석을 위한 준비 7.탐석을 위한 준비 탐석은 운과 끈기와 육감이라고 하는데 무엇보다 운이 따라 주는 것이 중요하다. 석력이 몇 십 년 되었다고 해서 좋은 수석감을 쉽게 발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갓 시작한 초심자가 좋은 수석을 더 많이 탐석하는 경우가 의외로 많은데 아마도 끈기와 인내의 결과일.. 간무악석(看無惡石)/수석자료와정보 2014.07.06
수석의 산지 6.수석의 산지 山사람은 산에 들어 편안함을 느끼고 바다를 좋아하는 사람은 바다에 안겨 또한 편안함 을 느낄 것이다. 석인(石人)은 돌밭에 나가서 제일 편안함을 느낄것이라고 믿는다. 그 옛날 잃어버린 낙원에라도 온듯 그런 마음을 느낌은 비단 나뿐만은 아닐것이다. 그런 돌밭이 이.. 간무악석(看無惡石)/수석자료와정보 2014.07.06
수석의 종류 5.수석의 종류 수석은 형태나 질에 따라 많은 이름으로 불리워 진다. 이를 형태면에서 크게 나누어 보면 산수경석, 물형석, 문양석, 색채석, 추상석으로 나눌 수 있다. 山水景石(山水石):자연의 수려한 산수의 경치가 한개의 작은 돌에 축소되어 나타나 있는 것을 일컫는다. 즉 한개의 작은.. 간무악석(看無惡石)/수석자료와정보 2014.07.06
수석의 요건 4.수석의 요건 옛부터 수석(壽石)은 3요소라 불리우는 형(形), 질(質), 색(色)에다가 고태미(古態美)와 자연 스러움의 두가지 요소를 더해 감상해 왔다. 이들 다섯 가지를 수석의 5요소라고 부르기도 한다. 1)형(形) 돌의 생김새, 즉 돌의 모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수석(壽石)의 3요소 중 가장 .. 간무악석(看無惡石)/수석자료와정보 2014.07.06
지층의 형성및 암석고찰 3.지층의 형성 및 암석고찰 자기가 좋아하는 돌이 어느 지질년대에 생성되어 어떤 성질의 석질을 가졌으며, 지금 이런 형태를 갖기까지는 어떤 변화를 겪어 왔는가를 알면 돌을 보는 관상안도 더 높아지고 그 오묘한 즐거움이 훨씬 커질 것이다. 지구의 나이는 약 40억년0이라고 한다. 우.. 간무악석(看無惡石)/수석자료와정보 2014.07.06
한국의 수석역사에 대한고찰2 한국의 수석역사에 대한고찰2 1. 壽石 現代史의 槪要 1960년대 신문과 잡지를 통한 기고문 외에 각지방 수석인들의 선구자 역할은 현대 수석문화를 잉태하게 한 사람들이다. 이들의 활동은 70년대는 수석전문서적 및 각종의 수석 단체결성을 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동호인들이 급속하게 늘.. 간무악석(看無惡石)/수석자료와정보 2014.07.06
한국의 수석역사에 대한고찰1 1.수석의 기본사상 ( 佛敎思想 / 道敎思想 ) 愛石文化는 그 근본이 우리의 정신문화가 근저에 깔려 있다. 그것은 불교와 유교 도교의 사상의 애석인의 기본적인 정서 에 깔려있어 그 배경이 된다고 생각하게 된다. 우리 나라의 애석사는 초기 승려( 僧侶 )들과 유학자들에게서 출발한 것이 .. 간무악석(看無惡石)/수석자료와정보 2014.07.06
수석의 역사(1) 2.수석의 역사 오랜 역사를 가진 수석에 대해 고전에서 대략 줄거리를 살펴 볼때 돌을 아끼고 사랑하는 인간의 마음은 옛날이나 오늘날이나 다름이 없으며, 우리나라의 애석생활의 기록을 문헌에서 찾아보면 신라시대 삼국유사에 기록이 남아 있다. (1285년) <怪石은 굳고 곧은 德을 가.. 간무악석(看無惡石)/수석자료와정보 2014.07.06
수석 이란 수석이란 수석(壽石)하면 대부분의 사람이 나이 드신 분들이나 하는 취미로 알고 있는데 이러한 생각은 잘못된 생각이다 취미 활동인 수석(壽石)에는 나이의 제한이 없고 관심있고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쉽게 배울 수가 있다. 모든 것이 그렇지만 수석(壽石)또한 기본 지식을 익히.. 간무악석(看無惡石)/수석자료와정보 2014.07.06
수석의 역사(2) 한국의 수석 역사 백제 진사왕 7년(392년), 고구려 소수림왕 2년(373년)에 중국으로부터 축산조성법 (縮山造成法 : 정원에 인위적으로 산이나 냇물을 만들어 감상하는 것)을 들여온 것을 계기로 수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으로 추측된다. 즉, 축산조성법을 통해 정원을 자연축경화(自然縮.. 간무악석(看無惡石)/수석자료와정보 2014.07.06